최근 S&P500 지수는 1% 하락한 4304.76으로 마감해 지난 1월 3일 종가 대비 10% 하락했던 4316.91을 밑돌았다.
주가가 전고점 대비 10% 이상 하락하면 ‘조정’, 20% 이상 하락하면 '베어마켓'(하락장)에 진입한 것으로 평가한다.
이 기준대로라면 현재 S&P500 지수는 조정장에 진입했다고 볼 수 있다.
역사적으로 S&P500이 조정장에 진입했을 때 이후 지수가 어떻게 움직였는지 과거 통계를 살펴보고 마음의 위안을 얻어보자.
위 표를 보면 조정 국면이 끝나고 1년 후에는 65.7%의 확률로 9.3% 상승한 것을 볼 수 있다.
통계이지만 '이 또한 지나가리라'라는 마음으로 좋은 주식을 잘 들고 있으면 좋은 날이 올 것이라 생각한다.
다른 통계는 구체적으로 조정장에 들어갔던 역사적 시기를 데이터화 해놓았다.
1년 후 데이터를 살펴보면 70%의 확률(20번 중 14번)로 상승한 것을 볼 수 있다.
역사를 보면서 마음의 위안을 얻고, 발 뻗고 잠을 청하련다.
한국인이 사랑한 미국 주식 Top10(22.2.21. 기준) (0) | 2022.02.23 |
---|---|
당신은 주가 하락을 보고 흥분합니까, 긴장합니까? (0) | 2022.02.23 |
반도체 전망과 반도체 대표 ETF (0) | 2022.02.23 |
회색코뿔소 (0) | 2022.02.22 |
동이 트기 전 가장 어둡다(JPM Insights) (0) | 2022.02.22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