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나 카페 글들을 보면 정방향 또는 역방향 레버리지 상품에 투자하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다.
3배는 물론 5배까지 변동폭을 두는 투자도 있다고 한다. 이 영역은 사자의 심장을 가진 투자자들의 영역이다.
그래서 보통의 전문가들은 레버리지 상품 투자를 권하지 않는다.
왜 그들은 레버리지 상품 투자를 권하지 않을까. 아래 내용을 읽어보면 왜 그런지 이해할 수 있다.
변동성 끌림(Vol Drag·Volatility Drag) 현상은 변동성이 커지면서 장기적으로 가격 가치가 점차 하락하는 현상을 말한다.
변동성이 높을수록 가격 하락의 정도가 크기 때문에 높은 레버리지 상품에 변동성 끌림 효과가 더 크게 발생한다.
예를 들어, 가격이 100인 기초 지수가 10% 하락한 뒤 10% 오른다면 지수 가격은 99가 된다.
하지만, 기초 지수 변동 폭의 2배를 하는 지수라면 등락 이후 가격은 96이 된다. 마찬가지로, 변동 폭의 3배를 추종하면 등락 이후 가격은 91까지 낮아진다.
이런 이유로 레버리지 상품은 방향성이 명확한 구간에서는 높은 수익률을 낼 수 있으나, 횡보하는 기간이 길어질수록 손실도 커질 수밖에 없다. 이는 장기 투자에 레버리지 상품을 잘 권하지 않는 이유다.
출처 : 연합인포맥스(http://news.einfomax.co.kr)
http://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00036
[시사금융용어] 변동성 끌림(Vol Drag) - 연합인포맥스
◆ 변동성 끌림(Vol Drag·Volatility Drag) 현상은 변동성이 커지면서 장기적으로 가격 가치가 점차 하락하는 현상을 말한다.변동성이 높을수록 가격 하락의 정도가 크기 때문에 높은 레버리지 상품에
news.einfomax.co.kr
투자 수명 주기 (0) | 2022.02.26 |
---|---|
마마(MAMAA)? 아마(AMAA)? (0) | 2022.02.23 |
한국인이 사랑한 미국 주식 Top10(22.2.21. 기준) (0) | 2022.02.23 |
당신은 주가 하락을 보고 흥분합니까, 긴장합니까? (0) | 2022.02.23 |
S&P500 조정장에 진입했을 때 역사적 통계들 (0) | 2022.02.23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