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아빠와 딸의 주식투자레슨, 대니얼타운/필타운

책 후기

by 방구석투자자 2021. 3. 3. 10:44

본문

728x90
반응형

p11. 다시 말해 진정한 투자는 매수를 위해 지불한 가격과 매수한 자산에서 발생하는 현금흐름 가치의 차이에서 돈을 벌 수 있다는 상당한 확신이 뒷받침되는 행위다.

 

p16. 시장의 폭락이 멋진 기업을 헐값에 사서 경제적 자유를 누릴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된다는 것을 배웠다.

 

p63. 투자는 네 생활의 일부가 되어 매끄럽게 어우러질 거다. 시간이 갈수록 실력도 늘겠지. 새로운 산업과 기업, 일자리에 대해 끊임없이 배워야 한다는 것이 내가 투자를 좋아하는 이유란다. 투자는 세상을 향해 난 창문과도 같거든.

 

p81. 이것이 부를 창출하는 복리의 놀라운 힘이다. 재투자를 하지 않고 이익을 실현해버리면 그해에는 결국 복리의 힘을 잃게 되지 아버지가 말했다. 처음에는 사소한 차이여도 그것이 결국 인생을 바꾼단다. 복리 효과를 한 해 더 누리면 수백만 달러가 늘어날 수도 있어.

 

수입의 10퍼센트를 저축하고 시장지수에 투자한 다음 남은 돈으로 생활하는 법을 배우면 조기 은퇴도 가능해.

 

p88. 목표가 왜 하필 26퍼센트인지 궁금할거야. 3년 뒤 돈을 두 배로 불려주는 연평균 복리 수익률이 정확히 26퍼센트야. 3년마다 돈을 두 배로 불리는 것, 이게 바로 목표라는 뜻이지.

 

p90. 버핏은 제대로 투자하는 법을 배울 생각이 없다면 s&p500과 같이 시장을 추종하고 수수료율이 낮은 지수를 사는 것이 차선이라고 했어. 시장 수익률 수준인 평균7퍼센트 수익률을 감수해야 하고 말이지.

 

p99. 경제적 자유를 이루려면 기본적으로 간단한 수학적 요소 네 가지를 생각해야 해.

1. 최소 연간 지출

2. 남은 투자 기간

3. 투자할 자본

4. 투자요구수익률

 

p100. 더 쓰고 싶은 욕구와 싸워서 가능한 한 투자금을 늘려야 해. 특히 복리로 돈을 불릴 시간이 가장 많이 확보된 투자 초반에 그렇게 해야 하지.

 

p124. 나는 뜻을 같이 하지 않는 기업의 물건을 사지 않듯 투자도 하지 않을 것이다. 나는 투자가 실제로 세상에 유용한 역할을 할 수도 있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좋은 기업은 나와 같은 사람들의 표를 원한다.

 

p125. 성장세를 기록하고 경영 상태가 양호하며 이익을 내는 기업을 사명과 결합한다면 그 결과는 놀라울 것이다.

 

p130. 기업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나는 그 기업이 어떻게 여기까지 왔는지, 누가 경영하는지, 무엇을 왜 했는지 하는 이야기를 머릿속에서 자연스럽게 구성해본단다. 바로 의미, 경영진, 해자, 안전마진이야. 기업의 이야기에서 중요한 부분이 또 있어. 기업이 지닌 가치관이 네가 세상에 확산되기를 바라는 가치관과 일치해야 한다는 점이이야. 바로 사명이지.

 

p133. 지지하는 사명에 돈으로 투표한다는 발상은 투자 대가인 버핏이 이미 했던 것이다.

 

p143. 버핏과 멍거는 감정에 의한 의사 결정이 흔하다는 사실을 알았고 그것을 이용했다. 그들은 공포에 질린 군중이 팔아치울 때 샀고, 탐욕에 빠진 군중이 사들일 때 팔았다.

 

p146. 이 모든 것은 가치투자가 효과를 발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정말 그렇다. 자신이 정말 좋아하는 기업을 찾는다. 불가피한 경기 침체로 상장회사들의 이익이 감소해 시장이 공포의 사이클에 진입하고 투매가 일어나서 가격을 본래 가치 아래로 끌어내리기를 기다린다. 펀드매니저 대부분은 동료들이 매도할 때 같이 매도하기 때문에 매수자가 적어지고 가격은 하락한다. 자신이 좋아하는 기업이 원래 가치보다 할인되어 거래되기를 기다린다. 매수한다. 그런 다음 편히 앉아, 경기 사이클이 기업의 이익을 끌어올리고, 실적 회복과 함께 필연적인 탐욕이 작동하기 시작하고, 점점 더 많은 매수자가 등장하면서 시장 가격이 반등하기를 기다린다.

 

p147. 이것이 바로 ‘사건’이야. 사건은 제 1원칙 투자 전략의 핵심 개념이다. 이 전략에서 사건은 나쁜 기업의 구제할 수 없는 문제와는 다르다. 사건은 예상하지 못했지만 일시적이고 교정 가능한 재난으로, 기업의 현금흐름에 중단기적으로 불확실성을 초래한다. 사건의 영향은 해당 기업이나 산업에 국한 될 수도 있고 시장 전반에 미칠 수도 있다. 중요한 것은 그 영향이 일시적이라는 것, 그리고 기업과 산업을 조사해 그 영향이 어떤 식으로 미칠지 파악함으로써 해당 사건이 해결되고 모든 것이 정상화 될 때까지 시간이 얼마나 걸릴지 알 수 있다는 것이다.

 

p149. 정확해. 그들의 매도로 가격이 하락해서 매수할 기회가 생기니까 오히려 좋아할 일이지.

 

p151. 가격이 잘못 형성되었을 때 그것을 알아차리는 방법을 알려주마. 버핏과 실러가 추천한 방법을 활용하면 시장 가격 형성과 관련해 정보를 얻을 수 있어. 시장은 급등하는데 나만 혼자 뒤처진 것 같을 때 나는 실러PERshiler p/e과 버핏 지표를 주시한단다.

 

*google에서 shiller pe검색 후 확인

지난 140년 평균 실러 per은 16.4배 1870년 이후 실러 per이 25배를 넘어선 적은 단 세 차례였다. 1929년 실러per은 32배까지 상승했고 그 후 시장은 90퍼센트 폭락, 2000년에는 44배를 기록했고 그 후 시장은 50퍼센트 폭락

 

*google에서 wilshire gdp 검색 후 확인

월셔 gdp가 60퍼센트 수준이면 전반적으로 시장 가격이 실제 가치에 비해 낮다는 뜻이다. 1999년과 2007년처럼 100퍼센트를 넘으면 시장이 고평가 상태라는 뜻이지.

 

p154. 폭락이 오지 않으면 투자하지 않은 채 10년 동안 기다려야 하나요? gdp와 주당순이익 대비 현재 주가 수준이 2년 이상 지속된 적은 여갓상 한 번도 없었어. 무엇이든 결국 시장을 급락하게 만들거야. 하지만 시장이 지금처럼 고평가 상태를 지속한다고 해도 특정 산업의 특정 기업에 투자할 기회는 여전히 있어. 그저 계속 조사하고, 계속 읽고, 계속 찾아야 해. 그러면 산업이나 시장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사건이 발생했을 때 준비된 상태로 대응할 수 있지. 이 전략을 믿어보렴. 버핏이 이유 없이 1000억 달러를 현금으로 보관하지는 않겠지.

 

p155. 찰리 멍거의 투자 원칙 1: 이해할 수 있는 기업

 

멍거가 생각한 훌륭한 투자의 핵심 요소는 자신이 모르는 부분이 있음을 인식하고, 합리적으로 판단하고, 잘 아는 기업이 매물로 나오기를 기다리는 것이다.

 

1. 자신이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2. 고유한 특성이 지속적인 경쟁우위를 뒷받침해야 한다.

3. 성실하고 유능한 경영진이 이끄는 기업이 바람직하다.

4. 합리적이고 안전마진이 확보된 가격에 매수할 수 있어야 한다.

 

p160. 그 회사를 네가 살 집이라고 생각해보렴. 집을 살 때는 동네를 알아야 하고 그것의 장기적 전망도 파악해야 해. 상장회사에는 산업이 동네야. 동네를 파악하듯 산업도 이해하면 돼. 어떤 일이 발생했고 그 일이 발생하는 주기는 어떻게 되고, 장점과 단점은 무엇이고, 앞으로 10~20년 뒤에는 어떻게 될 것인가 하는 것들이지.

 

p161. 바로 이 점이 중요해. 스스로를 안전하게 지키려면 이 점이 핵심이란다. 볼더의 아파트만큼 선명하지 않으면 투자하지 말아야 해. 그만큼 선명하지 않다면 네게 좋은 투자 대상이 아닌거야. “선명성의 법칙”

 

p163. 사건을 공포를 지렛대로 삼아 놀라운 투자 성과를 올릴 수 있게 한다. 내가 두렵다면 다른 사람들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그러나 그들은 공포에 떨며 매도할 것이고 나는 기다림으로 대응할 것이다.

 

p172. 나는 거대한 기업의 흔들림 여부를 조사를 통해 판단해야 하고, 조사에서 가장 먼저 살펴볼 자료가 바로 연차보고서다.(10k문서)

*분기보고서 10Q

->먼저 다른 투자자들을 보는 것도 범위를 좁히는 방법이야. 내가 ‘대가’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인데 그들이 사는 종목을 보고 그 기업을 조사하는 방법이 있어.

 

p176. 아버지는 투자 아이디어를 얻기 위해 참고하는 대가들의 명단을 웹사이트에 올려두었다. 이들이 제출한 13F 문서는 SEC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p189. 찰리 멍거의 투자 원칙2: 고유하고 지속 가능한 경쟁우위

찰리는 일단 기업을 이해할 수 있게 되면 그 다음으로 해당 기업이 고유한 경쟁우위를 보유했는지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p202. 아버지는 재무제표에서 확인할 ‘해자’인 네 가지 지표를 종이에 적었다. 이 네 가지 지표가 매년 성장해야 이상적이다. 아버지는 이것을 ‘4대 지표’라고 불렀다.

1. 순이익/손익계산서/이익 창출에 투입된 모든 비용을 차감한 최종 이익

2. 장부가치(자기자본)+배당금/장부가치:재무상태표, 배당금:현금흐름표/

3. 매출액/손익계산서/판매로 벌어들인 금액(수익)

4. 영업현금/현금흐름표/영업활동으로 얻은 실제 현금

 

“이 네 가지 지표가 각각 매년 10% 이상 성장해야 해.” 이것이 ‘4대 지표 성장률’이다.

 

p206. 찰리 멍거의 투자 원칙 3: 진정성 있고 유능한 경영진

경영진 지표:(1)자기자본 이익률( ROE) (2)투하자본이익률 (3)부채

자기자본 이익률=순이익/자기자본

 

p214. 투하자본이익률(return on invested capital) ROIC

투하자본이익률=순이익/(자기자본+부채)

*지난 10년동안 ROE와 ROIC를 매년 15% 이상 꾸준히 유지한 회사를 찾아야 해.

 

p215. 회사 장기 부채가 있다면 1~2년치 이익으로 상환 가능한 규모인지 확인해야 해.

 

p235. 투자 판단을 위해 꼭 알아야 하는 정보의 범위를 좁히려면 이미 자리가 잡힌 기존 기업들을 고수해야 한다는 것을 이런 실수를 거치면서 납득하게 됐지.

 

p236. 마찬가지로 아버지는 아는 것에 투자한다. 산업에 대한 이해가 관건이야. 네 집처럼 속속들이 알아야 해. 그 정도로 훤히 꿰뚫고 있어야 한다는 뜻이야.

 

p269. 찰리 멍거의 투자 원칙4: 타당한 수준에 안전마진까지 확보한 가격

합리적인 가격을 찾되 사지 않고 기다린다. 즉, 합리적인 수준보다 훨씬 더 가격이 떨어질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다. 첫 번째로 중요한 것은 타당한 가격을 지불하는 것이고, 둘째는 안전마진이 확보된 할인 가격을 지불하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타당한 가격을 잘못 계산한 경우에도 여분의 마진 덕분에 무사할 수 있고 돈을 잃지 않을 수 있다.

 

p278. 가격 산정 및 가치 평가 방법

1. 10캡 가격(주주이익 기준)

2. 투자 회수 기간 가격(현금흐름 기준)

3. 안전마진 기준 가치 평가(이익 기준)

 

p279. 가격 산정 방법 1: 10캡

예를 들어 50만 달러에 산 집에서 연말에 5만 달러가 내 주머니에 남는다면 투자 수익률을 10퍼센트다. 10캡. 그것이 내 자본환원율이다. 연말에 주머니에 남은 돈이 2만 5000달러라면 수익률은 5%이고 자본환원율은 5캡이다.

 

자본환원율은 높을수록 좋다. 버핏과 멍거의 요구수익률은 10캡, 즉 투자금 대비 연간 10%수준이어서 이 가격 산정법을 10캡 방법이라고 부른다.

 

주주이익*10캡

 

p288. 주주이익 산출 공식

순이익(net income, 손익계산서 또는 현금흐름표)+유형자산 감가상각비(depreciation),(depletion),현금흐름표 및 무형자산 상각비(amortization,현금흐름표)+순증감:매출채권(accounts receivable,현금흐름표)+순증감:매입채무(account payable,현금흐름표)+법인세(손익계산서)+유지 목적 자본적 지출(capital expenditures,현금흐름표 주석)=주주이익

 

p297. 가격 산정 방법 2:투자회수기간

나는 8년 동안의 연간 잉여현금흐름에 100퍼센트에 편류 성장률 3퍼센트를 더한 값(1.03)을 곱해 8년 투자 회수 기간을 기준으로 한 적정 매수 가격을 산출했다.

 

P300. 잉여현금흐름 산출 공식

영업활동으로 인한 순현금+유형자산의 취득(음의 값)+유지자본지출 및 성장자본지출(음의 값)=잉여현금흐름

 

p316. 가격 산정 방법 3:안전마진

목적: 10년 후 해당 기업의 예상 매도 가격을 계산한 다음 기본 대수학을 이용해 현재 기꺼이 지불할 수 있는 매수 가격을 역산한다.

필요지표:

주당순이익(EPS),

편류성장률,

편류 주가수익배수(PER):다음 두 선택지 중 더 작은 값을 이용한다.

1. 편류 성장률*2(%기호는 버림)

2. 해당 기업의 과거 10년간 per 고점 ->둘중 작은 값으로 정함

최소요구수익률(MARR): 항상 15%

 

 

p318. 안전마진 산출 공식

1단계 : 10년 후 eps=eps*(1+편류성장률) [10번 반복]

2단계 : 10년 후 주가=10년 후 eps*편류 per

3단계 : 기준 가격=10년 후 주가/(1.15) 투자기간 승(=10년 후 주가/4)

4단계 : 안전마진을 확보한 매수 가격=기준 가격/2

 

p324. 10캡 방법과 투자 회수 기간 방법을 이용해 기업 전체의 가격을 구했다. 이렇게 구한 가격을 발행주식 수로 나누어 안전마진법으로 구한 주당 가격과 비교했다. 주식 수는 유동적이라서 또 다른 편류 요인이다.

 

p326. 일반적으로 투자 회수 기간법이 가장 정확하고 유용해. 잉여현금흐름을 이용하고, 미래에 그 잉여현금흐름을 더욱 크게 증가시킬 기업의 잠재력도 감안하기 때문이지.

 

p341. 값비싼 실수를 예방하는 체크리스트

의미

-능력범위의 경계에 닿아 있거나 경계를 벗어남

-투자 대가들의 매수가 전혀 없음

-해당 기업을 공부하는 것이 즐겁지 않음

-산업, 기업, 제품을 이해하기가 쉽지 않음

-반대 논거를 생각하지 않았음

-산업이 쇠퇴함

-노조가 비우호적임

-10년 후 제품에 대한 수요가 불확실함

-10년 후 생산성 향상 여부가 불확실함

-해당 산업이 빠르게 변화함

-10k 문서의 10년치 주석을 읽지 않았음

 

해자

-고유하지 않음

-지속가능하지 않음

-확대 가능하지 않음

-4대 지표의 성장이 없음

-특히 장부가치(와 배당금) 증가가 없음

-주주이익과 잉여현금흐름 예측이 불가능함

-해외에서 저가 경쟁 제품이 부상하고 있지만 미국에는 아직 진입하지 않았음

 

경영진

-roe와 roic가 하락 추세임

-ceo가 회사의 주인답게 행동하지 않음

-ceo가 자신의 이익을 우선시함

-ceo가 문제를 숨김

-ceo가 너무 많은 주식을 매도함

-회사가 적정 가치보다 훨씬 높은 가격에 자사주를 매입함

-최근 ceo가 교체됨

-부채가 2년치 잉여현금흐름을 초과함

-부채가 증가함

-대출이 곧 만기에 도달함

-회사가 대출 약관을 위반할 가능성이 있음

 

가격산정

-자신있게 주주이익을 계산할 수 없음

-10캡 기준 가격보다 비쌈

-8년 투자 회수 기간 기준 가격보다 비쌈

-안전마진 기준 가격보다 비쌈

-이익 및 잉여현금흐름 증감에 일시적으로 영향을 미칠 사인이 있음

-자사주 매입을 통해 eps 증가를 꾀함

-미래 성장률 및 미래 per 추정치가 비현실적임

-사건도 없고 주가 하락도 없음

-주가는 하락했으나 매도할 만한 사건은 아님

-사건이 상당한 공포를 유발하며 1~3년내 해결되지 않을 수도 있음

-사건이 사업을 영구적으로 손상시킬 수도 있음

-사건이 너무 복잡해서 이해할 수 없음

 

p345. 이야기 구성하기

1.투자원칙

-이해하기

-사명

-해자

-경영진

-합리적인 가격

 

2.세 가지 이유: 해자 , 경영진, 또는 가격 측면에서 해당 기업을 소유해야 하는 세가지 중요한 이유

 

사건: 해당 기업을 매도하게 할 사건을 기술한다. 1~3년 이내에 해결 가능한 문제인가?

 

p349. 이야기 반전하기

1.반전: 해당 기업을 소유해야 하는 세 가지 주요 이유를 뒤집어 소유하지 않아야 할 세 가지 이유를 찾는다.

2.반전의 재반전: 해당 기업을 소유하지 않아야 할 세 가지 이유를 하나 하나 재반박한다.

 

p352. 이야기를 반전했더니 해당 기업에 확신을 갖기 어렵게 됐다면 ‘너무 어려움’ 폴더로 분류해라. ‘관심 목록’에서 ‘너무 어려움’목록으로 옮기는거야. 그러면 끝이다.

 

p376. 안티프래질 포트폴리오

지속 가능한 해자를 갖춘 기업은 단순히 시장의 혼란을 견디거나 간신히 헤쳐나가는 기업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고 했다. 멋진 기업은 대개 ‘사건’을 유리하게 활용한다. 물가가 상승할 경우, 해자가 경쟁에서 보호하기 때문에 인건비와 재료비 상승을 반영해 제품 가격을 올릴 수 있다. 물가가 하락하더라도 해자가 고객들을 계속 찾아오게 만들 것이므로 가격을 낮출 필요가 없다.

 

p377. 원하는 것이 경제적 자유라면 항상 할인된 가격에 매수하고, 현금을 들고 기다리고, 혼란이 닥쳤을 때 행동에 나설 준비가 되어 있어야만 한다. 버핏은 이것을 ‘황금 비가 내릴 때 양동이를 들고 밖으로 뛰쳐나갈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라고 표현했다.

 

양동이를 들고 나갈 준비를 한다는 건 불황이 닥칠 때를 대비해서 투자할 자금을 확실히 확보해둬야 한다는 뜻이야. 그러면 위기가 닥쳤을 때 싸게 사두었다가 모든 것이 정상으로 돌아왔을 때 커다란 이익을 남기고 팔 수 있는 멋진 기업들로 이루어진 포트폴리오를 갖게 되지. 이것이 바로 안티프래질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비결이야.

 

p382. 버핏은 만일 모든 기업이 내가 정한 매수 가격 미만에 거래된다면 그중에서도 특히 선호하는 기업을 사라고 했다.

 

p385. 한 기업을 살 때마다 투자금을 4등분해서, 즉 네 개 트랑셰로 나누어 매수하는거야.

 

p402. 버핏은 이야기가 달라진 경우에 한해서만 팔아. 오직 그때만이야. 달라진 게 없다면 계속 보유하는거야. 왜 팔아야 하지?

 

p412. 배당에 집중하다 보면 배당을 지급하는 기업 때문에 더 좋은 다른 기업을 못 볼 수 있어.

 

p413. 배당금과 자사주 매입은 소유할 기업을 결정하는 기준이 아니라 투자 기저를 축소하는 수단으로 이해해야 해.

 

p418. 앞으로 10년 뒤에는 투자 기저를 모두 회수하고 매년 배당금으로 괜찮을 수익이 꾸준히 발생하는 기업들로 구성된 포트폴리오를 갖고 있어야 해.

 

728x90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