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크스토어(dark store)는 전자상거래 등으로 고객이 주문한 상품을 일단 보관해두는 도심 내 소규모 물류 거점을 가리킨다. 오프라인 매장이지만 실제 상품을 팔거나 방문 고객을 받는 가게는 아니다. 온라인 배송용 상품을 이른 시일 안에 포장하고 배송할 수 있도록 보관해두는 목적의 도심 매장이다.
다크스토어라는 이름은 '불 꺼진 슈퍼마켓'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전자상거래 서비스 중 하나인 '마이크로 풀필먼트(micro-mulfillment)' 서비스의 하나로 볼 수 있다.
전자상거래로 유통되는 물품은 통상 도심 외곽에 있던 물류센터에 집하된 후 배송되는 체계로 움직였다. 하지만 갈수록 배송 속도에 대한 소비자들의 기준이 높아지면서 더 빠르게 배송하는 전략이 핵심으로 자리 잡게 됐고 이에 따라 임대료가 비싸더라도 도심에 소규모 물류 거점을 두는 다크스토어가 늘어나는 추세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이 창궐하면서 다크스토어의 확산세에 가속도가 붙었다. 유통업체들은 코로나19 사태로 비대면 거래가 많아지자 오프라인 매장들을 폐점하거나 면적을 줄이는 대신 그 자리를 온라인 주문 물품의 신속 배송을 위한 도심형 물류창고로 전환했다.
국내 대형 유통업체들의 다크스토어로는 SSG닷컴의 PP센터, 롯데마트의 세미 다크스토어, 홈플러스의 풀필먼트 센터 등이 있다. 이들과 함께 신흥 전자상거래 업체들도 다크스토어를 늘리는 흐름이다. 배달앱 운용업체인 배달의 민족은 'B마트', 요기요는 '요마트'라는 다크스토어를 운영한다.
다크스토어의 미래에 대해선 상반된 시각이 나온다. 어둡게 전망하는 측은 코로나19 사태가 진정되면 대면 소비가 회복되면서 상품을 진열하고 직접 구매할 수 있는 가게가 다시 살아날 것으로 본다. 반면 일시적 유행에 그치지 않을 것으로 보는 사람들은 비대면 거래가 이미 자리 잡은 만큼 빠른 배송에 대한 수요는 여전히 유지될 것으로 보고 있다.
출처 : 연합인포맥스(http://news.einfomax.co.kr)
http://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00269
[시사금융용어] 다크스토어 - 연합인포맥스
◆다크스토어(dark store)는 전자상거래 등으로 고객이 주문한 상품을 일단 보관해두는 도심 내 소규모 물류 거점을 가리킨다. 오프라인 매장이지만 실제 상품을 팔거나 방문 고객을 받는 가게는
news.einfomax.co.kr
미국 십대가 좋아하는 브랜드, 나이키 (0) | 2022.03.27 |
---|---|
국제 문제의 진자(the-pendulum-in-intl-affairs), 하워드 막스 (0) | 2022.03.26 |
워렌버핏 연례주주 서한(22.2.26) (0) | 2022.02.26 |
투자 수명 주기 (0) | 2022.02.26 |
마마(MAMAA)? 아마(AMAA)? (0) | 2022.02.23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