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방구석투자자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캐나다, 멕시코, 중국에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캐나다와 멕시코에는 각각 25%의 관세, 중국에는 10% 추가 관세를 부과합니다.
관세에서 우리나라도 자유롭지 않아보입니다.
2월 중순부터 다른 나라에도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발표했으며 관세 품목에 반도체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야후 파이낸스는 기사를 통해 트럼프 대통령과 엔비디아 젠슨 황이 만나 반도체 관세 부과에 대한 이야기를 나눴다는 이야기를 전했습니다.
미국 여러 업체에 hbm과 메모리를 수출하는 우리나라도 관세로 많은 타격을 입지 않을까 걱정이 됩니다.
미국 주식 투자 과정에 관세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들을 살펴보겠습니다.
아래 표는 트럼프 정부 관세 정책이 미국의 1900년대 관세와 비슷하다는 내용을 보여주는 표입니다.
관세 부과로 인해 걱정되는 부분은 인플레이션입니다.
관세가 부과되면 미국의 물가는 상승할 것이고, 물가 상승으로 인플레이션이 다시 발생하면 연준에서도 금리를 내릴 수 없을 것입니다.
어제 미국 시장에서도 10년물 금리가 1.26% 상승했네요.
금리 상승은 주식시장 상승에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금리 상승과 지금의 관세 이슈로 인해 시장이 많은 변동성을 보일 수 있습니다.
장기투자자에게는 변동성 장세가 좋은 주식의 수량을 늘리는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저는 장이 한창 좋았을 때보다 요즘 자주 주식 시장을 들여다 보는 것 같습니다.
덕분에 좋은 주식들의 수량을 늘릴 수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지나친 관심은 좋은 주식 매도로 이어져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본인의 상황에 맞게 적절한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마라톤처럼 한걸음 한걸음 부자가 되시기 바랍니다.
트럼프 관세가 S&P 500에 미치는 영향: 골드만삭스 분석 (0) | 2025.02.05 |
---|---|
테슬라, 캘리포니아 판매량 36% 급감! 머스크의 정치적 행보가 원인? (0) | 2025.02.04 |
애플 주식이 떨어진 이유 (0) | 2025.01.17 |
2025년 10년물 미국 국채 금리는 어디까지 올라갈까? (0) | 2025.01.10 |
부자들은 해외에 투자할까? 2024 한국 부자 보고서(KB) (0) | 2025.01.10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