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내용은 워렌 버핏의 재무제표 활용법, 메리 버핏 외 1인, 부크홀릭, 2010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자본(자본 총계)은 그 회사의 총자산에서 총부채를 뺀 것이다.
자본은 우선주와 보통주 총액에 자본잉여금과 이익잉여금을 더하고, 거기에서 자기주식을 뺀 금액이다.
워렌 버핏은 장기적인 경쟁우위를 가진 기업을 찾는데 있어 자기자본이익률을 매우 중요한 지표로 활용한다.
워렌 버핏은 장기적인 경쟁우위를 가진 기업의 자기자본이익률은 평균 이상이라는 것을 발견했다.
그러나 지속 가능한 경쟁우위를 갖지 못할 정도로 경쟁이 심한 항공 산업의 경우 자기자본이익률은 크게 떨어진다.
자기자본이익률이 높다는 것은 그 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이익잉여금을 잘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자기자본이익률이 높으면 시간이 갈수록 회사의 가치는 상승하고, 결국에는 시장이 그런 가치 상승을 제대로 평가해 주가를 올리게 된다.
그러나 한 가지 유념해야 할 것이 있다. 수익성이 매우 높아 이익잉여금을 보유할 필요가 없는 일부 회사의 경우 이익을 모두 주주를 위해(배당금이나 자기주식 매입) 사용하기도 한다. 이런 회사의 자기자본은 종종 마이너스가 되기도 한다. 그런데 파산한 회사의 자기자본이익률도 마이너스다. 따라서 이 둘을 구별해야 한다.
즉 오랫동안 강력한 순이익을 기록했지만 자기자본이익률이 마이너스라면, 이 회사는 장기적인 경쟁우위를 가진 회사일 가능성이 큰 것이다.
이번 장에서 기억해야 할 원칙은 자기자본이익률이 높으면 투자하고, 자기자본이익률이 낮으면 투자하지 말라는 것이다.
현금흐름표-자본적지출 (0) | 2021.06.28 |
---|---|
현금흐름표 (0) | 2021.06.25 |
대차대조표-자기주식 (0) | 2021.06.25 |
대차대조표-이익잉여금 (0) | 2021.06.24 |
대차대조표-우선주, 보통주, 자본잉여금 (0) | 2021.06.24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