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14. 디플레가 왜 무서운가?
디플레는 결국 ‘장기불황’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이라는 점이다.
소비와 투자가 연쇄적으로 얼어붙게 된다.
p19. 필자는 금융시장에 오래 몸담았던 이코노미스트이기에 ‘재테크’가 위기의 시대를 돌파하는데 좋은 무기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p36. GDP갭이 플러스를 기록하면 물가가 상승할 가능성이 높고, 반대로 GDP갭이 마이너스를 기록하면 물가가 오르기 어려운 이른바 ‘디플레’의 시대가 펼쳐지게 된다.
*GDP갭=실제GDP-잠재GDP
p92. 미국의 중산층 및 근로계층의 경우 주식 보유 비중이 낮기 때문에, 기업의 실적개선 및 주가 상승의 효과는 상류층에만 집중되는 문제가 생긴다. 대부분의 가계는 주식투자의 비중이 낮아 주가 상승의 혜택을 거의 누리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p196. 따라서 per와 시장금리는 대체로 음(-)의 관계를 형성하는 경향이 있다고 기억해두면 좋을 것 같다.
p199. 반면 금리가 하락할 때에는 주식시장 전반의 per가 높아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주식투자의 비중을 높여나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p217. 금리상승 국면엔 가치주에 주목
p218. 금리가 하락한 다음에는 성장주 강세
환율과 금리로 보는 앞으로 3년 경제전쟁의 미래, 오건영 (0) | 2021.03.03 |
---|---|
금리는 주식시장의 미래를 알고 있다, 정웅지 (0) | 2021.03.03 |
존리의 부자되기 습관, 존리 (0) | 2021.03.03 |
재무제표 모르면 주식투자 절대로 하지 마라, 사경인 (0) | 2021.03.03 |
아빠와 딸의 주식투자레슨, 대니얼타운/필타운 (0) | 2021.03.03 |
댓글 영역